경험자의 스타트업 투자 완벽 가이드 : 단계별 투자 전략 총정리
2025. 1. 30. 22:43ㆍstartup/투자정보
✅ 스타트업 투자구조
스타트업에서 일하다보면 투자유치는 매우 중요하다. 우선 스타트업의 투자단계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아래처
럼 프리시드 부터 IPO단계 까지 금액또한 차이가 엄청난다. 대부분 스타트업 초기창업시 다양한 투자사미팅을 하
거나 이어지면 IR까지도 진행된다. 스타트업이나 창업에 대한 경험이 대부분의 대표들은 부족하다 보니 초기 투자
사의 직원(xx이사,xx실장)등의 컨설턴트 들을 먼저 만나게 되는데 여기서 또한 장미빛 미래를 꿈꾸게 된다.간단하
게 설명하자면 시드투자만 받아도 나름 성공한 것이다. 시드를 받는건 이후 팁스(5억~)까지도 노릴수 있기 떄문이
다. 그럼 사실 시드1억+팁스5억+자기자본일부+국책과제1~2개 정도만 수행해도 3~5년간 운용 자금이 발생한다.
초격차분야(의료,방산,양자 등)는 사실 어느정도 팀원이 구축되어 있거나 대략의 프로토타입만 가지고 있어도 쉽게
투자를 받을수 있다. 하지만 제조,플랫폼,웹,앱 등 누구나 쉽게 접근할수 있는부분은 어느정도 경쟁율도 있고, 무엇
보다 시스템이 매출이 적더라도 운영은 되고 일정 매출이 있어야 시드 투자 까지 도전해볼만 하다.
1) 프리-시드(Pre-Seed) 단계
- 창업자가 개인 자금(Self-funding), 가족, 친구, 엔젤 투자자 등을 통해 초기 자금을 마련하는 단계
- 제품 개발 전 또는 MVP(최소 기능 제품) 제작 단계
- 투자 규모: 수천만 원~수억 원 수준
2) 시드(Seed) 단계
- 초기 시장 검증 및 제품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
- 엔젤 투자자, 액셀러레이터(AC), 초기 벤처캐피털(VC) 등이 투자자로 참여
- 컨버터블 노트(전환사채), SAFE(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등 활용 가능
- 투자 규모: 수억 원~수십억 원 수준
3) 시리즈 A (Series A) 단계
- 본격적인 사업 확장 및 제품 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 확보
- 벤처캐피털(VC) 및 기관 투자자가 주요 투자자로 참여
- 투자 규모: 수십억 원~수백억 원 수준
4) 시리즈 B (Series B) 단계
- 시장 점유율 확대 및 글로벌 진출
- 성장 단계의 VC, 전략적 투자자(CVC) 등이 참여
- 투자 규모: 수백억 원 이상
5) 시리즈 C 이후 (Series C, D, E...)
- 대규모 확장, 인수합병(M&A) 또는 IPO(기업공개) 준비 단계
- 사모펀드(PE), 대기업, 해외 투자자 등이 참여
- 투자 규모: 수백억~수천억 원 이상
6) IPO(기업공개) 또는 M&A
- 주식시장 상장을 통한 공개 투자 유치 또는 대기업에 인수됨
- 기존 투자자들의 엑싯(EXIT, 투자금 회수) 발생
✅ 스타트업 투자형태
스타트업 투자는 주로 지분 투자(Equity Investment) 와 부채 투자(Debt Investment) 로 나뉩니다.
만약 본인의 회사가 시드투자를 받는다면, 사전 유분리 조항을 미리 학습해야한다. 사실 이부분은 쉽게 접근하기 힘들다. 투자관련 외부기관(전문 변호사)등을 선임해서 함께 진행해도 되나 사실 시드단계에서는 투자사 또한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하기때문에 빈정상할수도 있다. 회사의 벨류와 지분협상을 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표가 중요하고 실질적인 매출이나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등 정량적 지표를 많이 확보해 두면 좋다.
1) 지분 투자 (Equity Investment)
- 투자자는 스타트업의 지분을 받고, 기업 가치 상승 시 수익을 창출
- 보통주(Common Stock): 일반 주식, 의결권 보유
- 우선주(Preferred Stock): 배당 및 청산 시 보통주보다 우선권 보유
2) 전환사채 및 기타 투자 (Convertible & SAFE)
- 전환사채(Convertible Note): 일정 조건 충족 시 주식으로 전환
- SAFE(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일정 조건 충족 시 주식을 받을 수 있는 투자 계약(미국 Y Combinator 개발)
3) 부채 투자 (Debt Investment)
- 기업이 일정 기간 후 상환해야 하는 대출 형태
- 이자율 및 담보 설정 가능
- 대표적 형태: 벤처 대출(Venture Debt), 은행 대출
✅ 스타트업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점
기본적인 시드 투자를 받아도 사실 잘해야 pre-A또는 시리즈A정도까지 간다. 또한 무리하게 투자유치만을 위해 본질을 무시하고 투자사가 원하는 방향대로 회사를 운영하면 정작 중요한것을 놓칠수 있다. 실질적으로 회사는 돈을 버는 곳이지 투자사 배불리는 곳은 아니다. 반대로 투자사는 회사의 성장, 가치, 좋은회사 이런가치보단 오로지 투자이후 다음단계의 투자사에게 넘기기 위한 실적 매출 지표 등을 상당수 요구한다. 그리고 그게 그들의 업무이다. 세상 공짜는 없다. 투자만 유치하고 먹튀하는 스타트업도 상당수 존재한다. 투자사와 회사의 윈윈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으며 중복된 투자사가 있다면 정말 나의 회사에 어떠한 이익이나 도움을 줄수 있는지 잘따져 물을 필요가 있다.
창업자가 고려할 사항
✅ 어떤 투자 유형이 회사 성장에 적합한가?
✅ 투자자가 요구하는 권리와 조건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은?
✅ 향후 엑싯 전략(IPO, M&A 등)에 적합한 투자자인가?
투자자가 고려할 사항
✅ 창업팀의 역량과 시장 기회
✅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과 경쟁력
✅ 투자 회수(Exit) 전략과 리스크
☑️ 투자유치의 기본, 그리고 투자를 잘받기 위한 가이드정보
- 좋은사업 좋은사업계획서(IR) : 문제,솔루션,시장,경쟁,BM,재무,팀
- 투자가능성이 높은 투자기관 선정 : Stage별, 보유 재원별 전략적 접근
- 심사역과의 긴밀한 관계 : 신뢰, 결국 사람에게 투자하는것, 우리 편으로 만들기
- Critical Selling Point의 효과적 활용: 대규모 납품 계약, 핵심기업과의 제휴
- 너무 많은 투자자와의 접촉은 금물 : 집중도 저하, Reject 가능성 높음, 업계소문
- 충분한 시간을 갖고 추진: 하루아침에 투자의사 결정이 내려 지지는 않음 </aside>